728x90
cmd 창에서 프로젝트를 build 해보고 실행까지 해보기 😎🙌
제 글은 모두 window 사용을 기준으로 합니다!
1.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해서 cmd 창 열기
강사님은 맥을 쓰셨지만,
저는 윈도우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파일 탐색기에서 폴더로 이동!
다음 사진처럼 주소창에 cmd + [enter] 치면 해당 위치에서 cmd 창이 열립니다
📌 참고 : 윈도우 cmd 명령어
리눅스 명령어만 사용해봤어서 이번에 찾아가면서 사용했네요 🙄
이번에 게시글에서 사용한 두 가지 명령어만 써두겠습니당
cd : 폴더 이동할 때 사용 (리눅스의 cd)
dir : 현재 폴더의 파일, 폴더 목록을 보여준다 (리눅스의 ls)
2. build
다음 명령어로 build !
gradlew build
📌 build가 잘 안될 때에는 clean build로 해보자! (build 폴더를 지우고 다시 build를 시도한다)
3. ./build/libs로 이동한다
spring-practice-0.0.1-SNAPSHOT.jar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!
cd build/libs
4. jar 파일을 실행시킨다
다음 명령어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!
java -jar spring-practice-0.0.1-SNAPSHOT.jar
서버 배포할 때는 .jar 파일만 복사해서 배포하면 동작한다!
spring이 아니었다면 서버에 톰캣도 설치하고..war...복잡했을텐데....
5. 결과 확인
⭐ 실행 성공 ⭐
이 포스팅은 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을 듣고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
728x90
'Web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웹 개발을 하는 세 가지 방법(1) : 정적 콘텐츠 (0) | 2022.02.08 |
---|---|
[Spring] 웹 개발을 하는 세 가지 방법 : 정적 컨텐츠, MVC와 템플릿 엔진, API (0) | 2022.02.08 |
[Spring] 정적 / 템플릿 Welcome Page 만들기 (0) | 2022.01.27 |
[Spring] 스프링 부트 / 테스트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(0) | 2022.01.27 |
[Spring] JUnit / IntelliJ에서 스프링 테스트 코드 작성하기 (3) | 2021.10.12 |